서울시민 코로나19, 97% 생활방역 전환 필요하지만 4월 19일은 이르다 63.6%

기사입력 2020.04.17 12:20 조회수 90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서울문화인] 서울시는 코로나19라는 전례 없는 팬데믹 상황에서 시민들이 경험하는 실제적 어려움과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하여 정례적인 여론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번에는 생활방역 등 코로나19 관련 주요 이슈에 대한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지난 410일부터 12일까지 3일간 글로벌리서치에 의뢰, 코로나19 관련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연령권역별 인구비례표집 기반 온라인 패널조사로 실시한 본 조사에는 만18세 이상 서울시민 1,000명이 참여했으며, 표본 신뢰도는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이다.

 

시민 97% 생활방역체계 전환 필요성 인식, 그러나 63.6% 아직은 전환하기 이르다.

서울 시민의 대다수(97%)는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 종료시점인 419일 이후에 일상생활을 일부 회복하여 일상과 방역이 조화를 이루는 생활방역체계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환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장 큰 이유로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경제활동 정상화를 통한 경제위기 극복’(51.3%)을 선택했다. 이 외, ‘장기간 거리두기로 인한 피로도와 심리불안 완화’ (19.8%), ‘외출 및 신체적 활동 재개 필요’ (13.5%)등을 주요 이유로 꼽았다.

 

생활방역체계로의 전환 시점 판단의 적정 기준에 대해서는, ‘확진자 수 상관없이 정부가 통제가능한 대응체계가 갖춰졌다 판단할 때36.5%1순위로 꼽혔다. 다음으로 신규확진자 10명 이하일 때 33.8%, 30명 이하일 때 19.6%, 50명 이하일 때 9.2% 순이었다.

 

전환 시점에 대해서는, ‘419일 부터 바로 생활방역체계 전환이 필요하다33.4%, ‘전환 필요하지만 419일은 조금 이르다63.6%로 아직은 전환에 대한 우려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생활방역 전환 시 감염우려 여전밀접접촉 최소화 동선구축 등 철저히 준비해야

생활방역체계로 전환 시 가장 우려되는 상황으로는 무증상 감염 등 원인 미상 감염’(58.5%) 새로운 대규모 집단 감염 발생’(41.6%)을 꼽았다. 시민 10명 중 3명은 국가통제 불가상황을 우려하기도 했다

 

가장 우려되는 시설 및 환경으로는 유흥 및 종교시설 등 다중 이용시설’(46.9%)보육 및 교육시설’(42.2%), 그리고 대중교통’(35.7%)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향후 생활방역 전환을 위한 준비 사항으로는 혼잡제한 좌석재배치 등 밀접접촉 최소화 동선(30.3%)의 선택 비율이 가장 높았고, 개인예방수칙 준수 관리(27.6%), 유증상자 발생 시 신속 대응시스템(17.9%) 순이었다.

 

사태장기화 및 경제적 위기에 대한 우려가 생활방역 전환에 대한 요구로 이어져

코로나19확산 전망에 대해 질문한 결과, 국내에서는 올해 7~12월 중 코로나19가 종식될 것이라는 전망이 51.8%, 연내 종식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23.2%에 달했다. 한편 코로나19의 경제적 영향에 대해서는 시민 절반 이상이 장기적인 경기침체’(54.8%)를 전망, 10명 중 2명은 대량해고 및 파산 등 대공황 수준의 위기’(22.1%)를 예상했다.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종식에 대해서는 시민 절반 이상(54.2%)가 연내 종식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경제 전망에 있어서도 대공황 수준의 경제위기 전망이 34.3%로 국내 수준보다 높아, 국제 상황에 비해서 국내 상황에 대해 상대적으로 낙관적 전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01 코로나19가 우리나라에서는 언제 종식될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국내, 전 세계).jpg
코로나19가 우리나라에서는 언제 종식될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국내, 전 세계)

 

 

 

코로나19관련 시민 불안심리에 대한 심층분석을 위해 감염병, 일상회복, 경제 및 사회관계 등 다양한 차원에서 느끼는 불안감의 수준에 대해서는 새로운 집단 감염 및 확진자 증가에 대한 우려감 (92.8%)만큼이나, ‘내수·수출감소에 따른 국내 경기침체’(92.2%), ‘사회변화로 인한 대규모 해고 및 실업률 증가’(91%) 등 경제적 영역에 대한 우려감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코로나19 영향으로 가족의 수입이 감소한 경우는 응답자의 48%, 가족구성원 중 한 명 이상이 실직한 경우는 17.6%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적 타격이 가장 큰 집단은 자영업자 및 생산·서비스직 등 블루칼라 직업군이었다. 자영업자의 경우 가계 수입이 감소한 경우가 72.8%, 가족 구성원 실직을 경험한 비율이 25.7%였고, 생산·서비스직에서는 각각 61.3%, 21.7%로 나타났다. 이는 사무, 관리 및 전문 직종이 포함된 화이트칼라 계층(39.8%, 14.8%)에 비해 유의미 하게 높은 수치이다.

 

시민 10명 중 7명 코로나블루 경험, 가장 큰 이유는 언제 끝날지 모르는 막연함

시민 10명 중 7명은 코로나블루(corona + blue)를 경험한 적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시민들이 불안감이나 우울감을 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상황이 언제 끝날지 모르는 막연함’ (41.9%)이었다. 그 외 나와 가족의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염려’(34.6%), ‘외부 및 신체활동 제한’(33.1%), ‘경제적 부담 및 불안’(29.5%) 등이 코로나블루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코로나 블루 원인에 대한 1순위 응답에서는 연령에 따른 차이도 관찰되었다. 20대와 30대의 경우 외부 및 신체활동 제한1순위 원인으로 꼽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40대의 경우 경제적 부담 및 불안1순위로 꼽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코로나 블루(corona blue)란 코로나 19가 장기화 되면서 사람들이 일상에서 외로움과 우울감, 불안감 등의 부정적 감정을 호소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신조어이다. 

 

 

04 [코로나 블루 경험자] 선생님께서는 우울감이나 불안감을 느끼시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우선순위대로 두 가지만 선택하여 주세요. (N=723, %, 복수응답(1+2순위)).jpg
[코로나 블루 경험자] 선생님께서는 우울감이나 불안감을 느끼시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우선순위대로 두 가지만 선택하여 주세요. (N=723, %, 복수응답(1+2순위))

 

 

 

우리 대처 역량에 대한 높은 신뢰도, 자부심 등 긍정정서는 생활방역 원동력 될 것

생활방역단계로의 전환의 기초로서 시민들이 정부 및 사회의 대응 역량에 대한 신뢰도 조사에서는 시민 10명 중 8명 이상이 감염자 치료(89.6%), 감염병 확산 제어(80.6%)와 같은 우리 사회의 감염병 관리 역량을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명 중 7명 이상이 생활방역을 위한 직장·학교·지역사회의 준비(73.5%), 가이드라인 등 정보제공 역량(73.2%), 정부의 행정지도 및 감독능력(71%)을 신뢰했다.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코로나19 사태에서 시민들이 경험하는 긍정적 감정에 대해서도 조사했다. 의료진 등 일선에서 노력하는 사람들에 대한 감사’(93.7%), 우리 방역 능력에 대한 자부심’(84.5%), 의료산업 등 사회적 발전에 대한 기대감’(82.4%), 각자의 자리에서 노력하는 국민들에 대한 감동’ (80.3%) 등 다양한 맥락에서 긍정적 정서를 느껴본 적 있는 비율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09 코로나19에 대해 다음의 우리 사회 구성원들과 주요 영역의 대처에 대해 어떻게 평가 하십니까.jpg
코로나19에 대해 다음의 우리 사회 구성원들과 주요 영역의 대처에 대해 어떻게 평가 하십니까

 

 

 

시민 76.9%, 서울시 대처 잘하고 있다. 대응 신속성 및 투명성에 대한 만족도 높아

코로나19 상황에서 서울시의 대처에 대한 평가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76.9%가 이번 사태에서 서울시가 대처를 잘하고 있다고 평가했으며,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23.1%로 긍정적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응의 신속성에 만족한 비율은 77.8%, 정보공개의 투명성 78%, 행정조치의 적극성은 70.2%로 나타났다. [김진수 기자]

 

    

 

 

 

 

 

 

 

 

 

 

 

[김진수 기자 ostw@naver.com]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저작권자ⓒ서울문화인 & sculturein.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0
이름
비밀번호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