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옥전 출토 5~6세기 가야의 금귀걸이 등 가야 유물 5건 보물 지정 예고

5~6세기 가야의 금속기술 집대성·인근국과의 교류양상 가치 인정
기사입력 2019.10.24 16:08 조회수 267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합천 옥전 고분군.jpg

 

 

[서울문화인] 1980년대 발굴조사 된 합천 옥전, 함안 마갑총 고분 등 대표적인 가야 고분에서 출토된 합천 옥전 28호분 출토 금귀걸이를 비롯한 가야문화권 출토 중요 유물 5건에 대해 문화재청이 보물로 지정을 예고하였다.

 

이번 지정 예고 대상인 가야 시대 유물 5건은 5~6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신비의 왕국으로 알려진 가야의 생활상과 기술 수준에 대한 실체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유물들로, 그동안 미진했던 가야 유물에 대한 역사적학술적예술적 가치를 재평가하여 보물로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합천 옥전 28호분 출토 금귀걸이.jpg
합천 옥전 28호분 출토 금귀걸이

 

 

합천 옥전 28호분 출토 금귀걸이(陜川 玉田 二十八號墳 出土 金製耳飾)’ 한 쌍은 19851986년까지 이루어진 경상대학교 박물관의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것으로, 현존하는 가야 시대 긴 사슬 장식 금귀걸이중 가장 화려하고 보존 상태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긴 사슬 장식 금귀걸이는 사슬고리나 S자형 금판고리를 연결하여 기다란 형태를 만든 것으로 신라나 백제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가야의 독창적인 기술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유사한 형식의 금귀걸이는 대체로 5세기 가야 문화권에서 주로 유행했으며, 5세기 후반6세기에는 일본에도 영향을 끼쳐 가야귀걸이와 유사한 작품이 다수 전래되고 있다. 일본 규슈[九州] 지방 구마모토현(熊本縣)의 다후나야마(江田船山) 고분에서 출토된 6세기 금귀걸이의 경우 합천 옥전 28호분 출토 귀걸이와 매우 흡사하여 가야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려주고 있다.

 

일본 큐슈 에다후나야마(江田船山) 고분 출토 금귀걸이.jpg
일본 큐슈 에다후나야마(江田船山) 고분 출토 금귀걸이

 

 

특히 정식 조사를 통해 발굴되었기 때문에 출토지가 확실하고, 5세기 가야의 고유한 형태를 지닌 점, 일본에 영향을 끼친 점, 한 쌍이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다는 점에서 가야 금속공예의 대표작으로 큰 의의가 있다.

 

 

합천 옥전 M4호분 출토 금귀걸이 3.jpg
합천 옥전 M4호분 출토 금귀걸이

 


합천 옥전 M4호분 출토 금귀걸이(陜川 玉田 M4號墳 出土 金製耳飾)’는 좌우 한 쌍이 온전히 남아 있고 무덤의 주인공이 귀에 달았던 곳에서 발견되어 실제 사용된 사실도 확인되었다.

(옥전 고분 중에는 명칭에 ‘M’자가 붙은 사례가 있는데, 이는 발굴지 주변에 큰 구릉 (mound)이 있는 지역을 뜻하는 고고학 용어이다)

 

이 귀걸이가 중요한 이유는 가야귀걸이 양식의 가장 대표적이고 특징적인 양식인 가늘고 둥근 주고리(세환이식, 細環耳飾) 아래 속이 빈 공 모양의 장식을 단 것과 그 아래 심엽형(心葉形, 나뭇잎(보통 모양)) 장식을 달고 마지막으로 산치자 열매 모양의 입체형 장식을 단 특징들을 지녔기 때문이다.

 

특히, 장식마다 금 알갱이를 테두리에 붙이거나 금선(金線) 형태를 만든 누금세공기법(鏤金細工技法), 금판을 두드려서 요철(凹凸) 효과를 낸 타출기법(打出技法) 등 다양한 공예기법이 적용되어 가야 시대 금속세공기술이 매우 발달했음을 보여준다.

 

6세기 전반 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융성했던 합천 지역 가야문화를 대표하는 중요한 작품으로 가야귀걸이 중 보기 드물게 누금세공기법과 타출기법이 모두 다 사용된 작품이라는 점에서 예술 가치가 높다.

 

 

합천 옥전 M6호분 출토 금귀걸이.jpg
합천 옥전 M6호분 출토 금귀걸이

 

 

합천 옥전 M6호분 출토 금귀걸이(陜川 玉田 M6號墳 出土 金製耳飾)’ 한 쌍은 1991~1992년까지 경상대학교 박물관에서 발굴한 옥전 M6호분에서 출토된 것으로, 목곽(木槨)의 남쪽에 놓인 무덤 주인공의 머리 부근에서 발견되었다.

 

출토지와 발견 위치, 함께 출토된 유물이 확실해 고고학적 맥락이 뚜렷하고 현존하는 가야 산치자형 장식을 가진 금귀걸이 중 상당히 뛰어난 작품으로 꼽히는 작품이다. 주고리의 2단 중간 장식, 격자형 원통형 금판으로 연결된 공 모양 장식, ()자형 고리에 산치자형 장식을 달고 마지막 끝을 금 알갱이로 마무리한 것은 신라 금귀걸이의 중간식 형태와 가야의 산치자형 끝장식이 결합된 독특한 혼합양식으로, 6세기 가야 지역의 교류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특징이다.

 

특히, 옥전 M6호분 귀걸이처럼 금 알갱이를 장식 끝부분에 붙인 예는 창녕 계성 A지구 고분, 고령 지산동 44-11호분과 45-1호분 귀걸이와 합천 옥전 M4호분 귀걸이에서도 찾아볼 수 있어 가야 지역에서 널리 쓰인 기법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6세기 가야 금귀걸이의 특징을 잘 간직한 작품이자 이 시기 금속공예의 대표작으로서 의의가 크다.

 

한편, 옥전 M6호분은 규모가 큰 중형급 무덤으로, 보관(寶冠), 목걸이, 귀걸이, 고리자루 큰 칼(環頭大刀), 화살통, 장식 마구(馬具) 등이 함께 출토되어 옥전지역 고분 중에서도 지배자의 무덤으로 추정되고 있다.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큰 칼 일괄_용봉문 고리자루 큰 칼(김해박물관 보관).jpg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큰 칼 일괄_용봉문 고리자루 큰 칼(김해박물관 보관)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큰 칼 일괄_용봉문 고리자루 큰 칼(김해박물관 보관)-세부.jpg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큰 칼 일괄_용봉문 고리자루 큰 칼(김해박물관 보관)-세부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큰 칼 일괄_봉황문 고리자루 큰 칼(경상대박물관 보관) 2.jpg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큰 칼 일괄_봉황문 고리자루 큰 칼(경상대박물관 보관)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큰 칼 일괄_봉황문 고리자루 큰 칼(경상대박물관 보관)_세부.jpg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큰 칼 일괄_봉황문 고리자루 큰 칼(경상대박물관 보관)_세부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큰 칼 일괄(陜川 玉田 M3號墳 出土 環頭大刀 一括)’1987~1988년 동안 경상대학교 박물관이 조사 중 발굴한 유물이다. 옥전 M3호분은 가야 고분 중 비교적 규모가 크고 도굴되지 않아 당시 최고 수장(首將)의 묘제(墓制)를 가장 잘 간직하고 있는 무덤으로 이곳에서 나온 대가야식 고리자루 큰 칼 일괄’ 4점은 여러 점의 칼이 한 무덤에서 일괄로 출토된 최초의 사례이자, 손잡이와 칼 몸통 등을 금과 은으로 화려하게 장식해 삼국 시대 동종유물 중 제작기술과 형태 등이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꼽히고 있다.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칼 일괄 출토 상태.jpg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칼 일괄 출토 상태

 

 

이 중 국립김해박물관에 보관 중인 용봉문 고리자루 큰 칼의 경우 손잡이 부분에 가는 은선(銀線)으로 전체를 감은 후, 그 위에 매우 얇은 금박을 붙인 흔적이 발견되어 주목된다. 이는 지금은 거의 사라진 우리나라 전통공예기법인 금부(金鈇, 금속의 겉표면에 열을 가해 얇은 금박을 붙여 화려함을 극대화한 전통공예기법 )’의 일종으로, 이미 삼국 시대부터 이러한 기법이 사용되었고 그 전통이 매우 오래되었음을 확인해준다.

 

합천 옥전 M3호분 출토 고리자루 큰 칼 일괄은 가야 최고 지배층의 장묘(葬墓) 문화와 한국 전통공예의 역사를 잘 보여준다는 점, 중국과 일본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고대사, 고고학 연구에 중요한 기준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보물로 지정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마갑총 말갑옷(세부).jpg
마갑총 말갑옷(세부)

 

 

함안 마갑총 고리자루 큰 칼.jpg
함안 마갑총 고리자루 큰 칼

 

 

함안 마갑총 출토 말갑 옷 및 고리자루 큰 칼(咸安 馬甲塚 出土 馬甲 環頭大刀)’1992년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에서 마갑총(馬甲塚) 조사 때 발굴한 유물로, 무덤 주인공의 좌우에 하나씩 매장되었던 것이다. 두 유물은 함께 나온 여러 유물들에 대한 연구 결과, 5세기 아라가야에서 제작하여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철제 말갑 옷은 말머리를 가리는 투구, 목과 가슴을 가리는 경흉갑(頸胸甲, 목가슴드리개), 말의 몸을 가리는 신갑(身甲)이 거의 원형 그대로 보존되었다. 말갑 옷은 그동안 여러 가야 고분에서 발견된 적이 있으나 원형을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보존된 사례가 거의 없어 희귀성이 높다. 또한, 고리자루 큰 칼은 철을 단조(鍛造, 금속을 두들기거나 눌러서 모양을 만듦)하거나 철제 위에 상감(象嵌, 무늬를 새김)과 타출(打出, 철판 밑에 모형을 대고 두드려 겉으로 모양을 나오게 함) 기법이 고루 적용되어 가야인들의 철 조련 기술, 공예기법 수준, 조형 감각을 동시에 엿볼 수 있다.

 

동북아시아에서 철제 무구와 중장기병 전술이 확산되는 양상과 높은 수준의 철기 제작기술이 개발되고 교류된 양상을 집약적으로 보여준다는 점, 유물의 희소성과 완전성 등에서 역사학술기술사에서 중요한 유물이라 하겠다.

 

함안 마갑총 출토 당시 모습.jpg
[김진수 기자 ostw@naver.com]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저작권자ⓒ서울문화인 & sculturein.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0
이름
비밀번호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