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고궁박물관, ‘종묘’ 특별전 개최

국립고궁박물관 지하 1층 전시실 4월 29일부터 8월 3일까지
기사입력 2014.04.30 18:59 조회수 212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서울문화인] 국립고궁박물관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류 구전과 무형유산 걸작으로 등재된 종묘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등의 유무형유산을 종합적으로 살핀 전시로, 종묘의 역사, 건축, 제례문화의 정수를 소개하는 종묘특별전을 이달 29일부터 83일까지 지하 1층 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이번 특별전은 왕과 왕비가 죽은 후 신주를 종묘에 모시는 의식인 부묘(祔廟)를 시작으로, 종묘 망묘루(望廟樓)의 제향 공간과 건축, 신실 봉안물(奉安物), 종묘 제향의 의식절차, 제향에 사용된 그릇과 제사 도구인 제기, 제향의 준비 공간, 종묘제례악 등의 내용을 관련 유물, 사진, 영상 등을 통해 상세하게 소개한다.


 


조선을 대표하는 역사적 공간이자 최고의 국가의례가 행해졌던 제례 공간인 종묘를 다각적으로 조명하기 위해, 3개 전시실로 이루어진 넓은 공간에 종묘 제기, 왕실의 도장과 책보책(寶冊), 등록과 의궤, 그림 병풍, 가구, 현판, 악기, 주렴 등 다양한 종류의 유물 330여 점을 전시한다.


 


부묘에서는 신주를 종묘로 모시는 데 사용한 신주 가마[신여(神輿)]와 이를 장식한 주렴, 신주를 모시는 의자인 신좌교의(神座交倚)가 전시된다. 또 종묘를 바라보며 선왕을 추모하고 종묘사직을 생각하는 공간인 망묘루 재현실에는, 영조(조선 제21대 임금, 1694~1776)와 정조(조선 제22대 임금, 1752~1800)가 망묘루에서 직접 짓고 쓴 글을 새긴 현판을 살핌으로써, 종묘와 종묘제례의 의미를 되새겨볼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의궤와 다양한 영상물을 통해 종묘 정전(正殿)과 영녕전(永寧殿)의 제향 공간으로써 건축적 특징과 증축 과정을 살필 수 있으며, 종묘 공간의 근본적 기능을 이해할 수 있도록, 신주를 비롯하여 왕과 왕비의 도장과 책 등 정전과 영녕전 신실 내의 봉안물도 함께 전시하며, 신실 내부를 재현한 공간을 비롯하여 임금이 종묘 제향에서 정결함을 더하기 위해 손을 씻을 때 사용한 제기인 어관세이(御盥洗匜()’과 제관들이 손을 씻을 때 사용한 제기인 세뢰(洗罍()’등 화려한 문양과 장식이 돋보이는 제기들과 제향에 쓰인 제기를 보관하기 위해 영조 대에 처음 제작되어 정전 제기고(祭器庫) 내에 설치된 제기장(祭器藏)이 이번 전시에서 선보인다.


 


이 밖에도 종묘에서 전해진 편종편경방향진고 등과 김천흥 등 이왕직아악부* 출신 악사의 악기와 함께, 종묘제례 시 연행되는 춤인 일무(佾舞)의 춤동작을 그림으로 그린 시용무보(時用舞譜)’를 전시하고 관련 악장을 들을 수 있는 체험 코너를 마련하여 음악과 노래, 춤으로 구성된 종묘제례악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꾸며졌다.


* 이왕직아악부는 일제 강점기 조선왕조 왕립음악기관의 후신으로 해방 후 구왕궁아악부를 거쳐 국립국악원으로 전승되고 있음


 


아울러 종묘의 역사, 건축, 제향 의식, 제기, 제례악 등을 종합적으로 설명한 특별전 도록을 발간하여 관람객이 구매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전시 기간 중에는 종묘에 대한 관람객의 이해를 돕기 위한 특별 강연회가 529일과 73일 두 차례에 걸쳐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개최된다. 특별 강연회에서는 조선 시대 종묘의 역사, 건축, 종묘제기, 종묘 제향의 절차와 특징, 종묘제례악, 종묘의 신실과 봉안의물 등을 종합적으로 조명할 예정이다. 강연에 관심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참석할 수 있다.


(문의: 국립고궁박물관 전시홍보과(02-3701-7631, 7637))


 


, 전시기간 중에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종묘 특별전을 쉽게 풀이하는 전시 해설과 가족이 함께 종묘의 공간을 돌아보며 종묘의 역사, 건축, 제례 문화에 대해 살펴보는 가족 대상 체험행사가 운영된다.


(교육 프로그램 문의 : 국립고궁박물관 전시홍보과 교육팀(02-3701-7638, 7656))



봄과 여름의 준소상(尊所床)에 올리는 제기


임금이 손을 씻을 때 사용한 제기: 어관세이․반(御盥洗匜․槃)


제관이 손을 씻을 때 사용한 제기: 세(洗), 세뢰(洗罍), 세작(洗勺)


정조가 왕세손으로 책봉되면서 받은 옥인(玉印), 교명(敎命), 죽책(竹冊), 1759년


책과 보를 봉안할 때 사용된 모란도병풍과 배안상(牧丹圖屛風과 排案床)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1866~1899년


종묘제례악 때 연행되는 일무(佾舞)의 춤동작을 그림으로 그린 무보 <시용무보(時用舞譜)>, 국립국악원


주를 나르는 가마, 신여(神輿)


영조가 종묘제사에 참여하지 못하는 심정을 적은 현판, 주필사회제망묘루현판(走筆寫懷題望廟樓懸板), 1745년


종묘 정전 동협실 제기고(祭器庫) 내 제기장(祭器藏)


 








 

[서울문화인 기자 ]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저작권자ⓒ서울문화인 & sculturein.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0
이름
비밀번호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