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활쏘기’ 국가무형문화재 되나.

문화재청. 한국 무예사의 활쏘기 가치 인정, 보유자·보유단체 없이 종목만 지정 예고
기사입력 2020.04.20 17:52 조회수 83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국가무형문화재 제47호 궁시장_완성된 각궁을 잡아 당겨 보는 모습.jpg

 

 

 

[서울문화인] 오래전부터 중국은 ’, 일본은 ’, 우리나라는 을 잘 다루는 민족이라 할 만큼 우리나라 사람은 예로부터 을 잘 다뤄왔던 민족이다. ‘활쏘기는 오래전부터 전 세계 사람들이 즐기는 활동으로 나라마다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의 활쏘기는 고구려 무용총 <수렵도(狩獵圖)>, 삼국지(三國志) ‘위지 동이전(魏志 東夷傳)’을 비롯하여 고대 문헌에도 등장, 그 역사가 길다.

 

그러나 우리나라 활쏘기는 단순 활을 다루고 쏘는 방법은 무론 활을 쏠 때의 태도와 마음가짐 등 여러 면에서 우리 고유의 특성을 가지고 현재까지도 그 맥을 잇고 있는 민족의 문화 자산이다.

 

문화재청이 활쏘기를 새로운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하면서 오랜 역사와 더불어 활쏘기와 관련된 무형 자산 이 외에도 활·화살, 활터 등 유형 자산이 풍부하게 남아 있는 점, 활과 화살의 제작기법이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고 우리나라 무예의 역사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해 관련된 연구자료가 풍부하다는 점에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할 가치가 있다고 평가받았다.

 

 

보물 제527호 단원풍속도첩 중 활쏘기.jpg
보물 제527호 단원풍속도첩 중 활쏘기

 

 

 

또한, 활쏘기는 1928년 전국체육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지금도 경기를 하는 등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신체 활동이자 문화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지금도 전국의 활터에서는 활을 쏠 때 지녀야 할 마음가짐과 활을 쏠 때의 기술 규범을 비롯하여 활을 다루고 쏘는 방법, 그리고 활을 쏠 때의 태도 등이 전승되고 있다. 이처럼 세대 간 전승을 통하여 단절 없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고 전국 활터를 중심으로 유·무형 활쏘기 관련 문화가 널리 퍼져있다는 점도 인정됐다. 아울러, 지정 명칭을 활쏘기로 한 것은 활쏘기가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 문헌에서 확인된 순수한 우리말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활쏘기는 전국 활터를 중심으로 지금도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신체 활동이자 문화라는 점에서 이미 지정된 씨름(131)’, ‘장 담그기(137)‘와 같이 특정 보유자나 보유단체는 인정하지 않도록 하였다.

 

현재 보유자나 보유단체 인정 없이 종목만 지정된 국가무형문화재는 아리랑’(129), ‘제다’(130), ‘씨름’(131), ‘해녀’(132), ‘김치 담그기’(133), ‘제염’(134), ‘온돌문화’(135), ‘장 담그기’(137), ‘전통어로방식어살’(138-1)까지 총 9건이다.

 

문화재청은 30일 이상의 지정 예고 기간에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무형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여부가 결정된다. [허중학 기자]

 

 

 

 

[허중학 기자 ostw@naver.com]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저작권자ⓒ서울문화인 & sculturein.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0
이름
비밀번호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