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 양성리(洋城里)유적에서 고려의 왜구 방어용 해안 방어시설 확인

기사입력 2020.03.05 10:54 조회수 170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조사지역 전경 01.jpg
영덕 양성리유적 전경

 

 

 

[서울문화인] 고속국도 제65호선 포항~영덕간 건설공사(3~5공구) 내 영덕 양성리유적에서 해안으로 침입하는 왜구를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는 고려 시대 성곽이 확인되었다.

 

영덕 양성리유적은 해안으로부터 서쪽으로 1가량 떨어진 낮은 야산(해발 56m)의 정상부에 자리한 곳으로 발굴조사하고 있는 재)성림문화재연구원(원장 박광열)에 따르면 야산 정상부의 약간 아래쪽 부분을 원형으로 돌아가며 땅을 굴착하고 성벽을 쌓아 올린 성곽 구조(테뫼식)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계곡을 가로막아 만든 동쪽 성벽까지 고려하면 테뫼식과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계곡을 감싸도록 성벽을 쌓은 산성의 형태의 포곡식(包谷式)이 혼합된 형태로 성곽은 둘레 약 400m, 내부 면적은 1가량으로 일반적인 성곽에 비해 규모가 작은 편이라 중요 거점을 보호하기 위해 축조된 보루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했다.

 

성벽은 흙과 돌을 섞어 쌓는 토석혼축 방식으로 만들어졌으며, 현재는 높이 2.6m, 너비 7m 정도가 남아있다. 성 안쪽에 해당하는 내벽의 경우 땅을 굴착하지 않고 자연지형에 3050가량의 우툴두툴한 회청색 광석인 산돌과 냇가에서 다듬어진 자연돌인 냇돌을 3~5단 정도 안으로 들여쌓기하여 경사지게 조성했으며, 반면 지대가 낮은 아래쪽 외벽은 원래 지형 일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후 바깥쪽으로 산돌과 냇돌을 쌓고 그 안쪽으로는 점토와 모래가 많이 섞인 사질토를 20차례 이상 엇갈리도록 수평(판축형태)으로 다져 넣어 쌓았다.

 

반면 지대가 낮은 아래쪽 외벽은 원래 지형 일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후 바깥쪽으로 산돌과 냇돌을 쌓고 그 안쪽으로는 점토와 모래가 많이 섞인 사질토를 20차례 이상 엇갈리도록 수평(판축형태)으로 다져 넣어 쌓았다.

 

또한, 남쪽과 남동쪽 성벽의 외벽 바깥쪽에서는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420~470)으로 편평한 냇돌을 두었는데, 목책 기둥을 놓기 위한 시설로 추정했다. 이를 통해서 볼 때 양성리 성곽은 성벽 외벽에 보조적 방어 시설인 목책(木柵, 말뚝을 울처럼 두른 형태)을 두른 형태로 축조되었던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목책 관련 시설 주변으로 불에 그슬린 흔적 등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목책은 화재로 소실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성곽 내부에서는 건물지(창고망루시설) 12, 배수시설 등이 확인되었다. 해안이 조망되는 성곽의 정상부에는 사각의 망루 시설을 만들었고, 그 동쪽으로 온돌을 갖춘 건물지 4동을 조성하였다. 이와 함께 남쪽 성벽 내벽을 따라 사각형의 건물지 7기를 일렬로 배치하였는데, 이 중 일부는 화재로 소실된 후 건물을 다시 조성하여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4호 건물지 내부에서는 디딜방아 시설과 함께 다량의 탄화미가 확인되고 있어 곡식 창고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성지 동쪽 내벽·배구수 전경 01.jpg
성지 동쪽 내벽·배구수 전경

 

 

성지 남쪽 체성 및 건물지 전경 01.jpg
성지 남쪽 체성 및 건물지 전경

 

 

 

양성리유적 성곽에 대해서 과거 문헌 기록들에서 언급된 것은 확인하지 못하였지만 다만, <고려사>(高麗史)왜구가 강릉부(江陵府) 및 영덕현(盈德縣)덕원현(德原縣)을 노략질하였다.(세가 권43 137266), 왜구가 송생(松生)울진(蔚珍)삼척(三陟)평해(平海)영해(寧海)영덕(盈德) 등지를 침략하고, 삼척현을 불살랐다.(134 열전 권제47 13813)’라는 기록을 볼 때, 양성리 일원 주변 역시 왜구의 침입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양성리유적에서 확인된 성곽은 왜구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하여 해안가 조망이 유리한 곳에 축조한 당시의 해안 방어시설이었을 것으로 판단할 근거로 봤다.

 

이번에 발굴된 양성리유적 성곽은 동해안 지역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고려 시대 토석혼축 목책성곽이라는 점과 더불어 성곽 내 건물의 배치, 성벽 축조기법과 구조의 특이함은 그 당시 성곽축조 방법과 구조 변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평가했다. 더불어 발굴현장은 코로나 19(COVID-19) 진행 추이를 검토하여 추후 일반인에게 공개할 예정이라 밝혔다. [허중학 기자]

 

 

 

 

 

[허중학 기자 ostw@naver.com]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저작권자ⓒ서울문화인 & sculturein.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0
이름
비밀번호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