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문화재 일제조사, 올해부터 5년간 전국 사찰 불단(佛壇) 조사

올해 전라도 16개 사찰 대상으로 디지털 기록화ㆍ인문학 조사 병행해 추후 문화재 지정도
기사입력 2020.04.02 15:13 조회수 113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서울문화인] 사찰의 불단은 불상을 봉안하고 의례에 필요한 다양한 공양기물을 차리기 위해 마련된 구조물로 예배 방식의 변화에 따라 제작 기술도 같이 발전해 왔다. 또한, 당대의 우수한 장인들이 시대상을 반영한 다양한 문양과 도상을 정교하게 조각하기 때문에 역사미술사 분야의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와 함께 우리 불교문화의 전통과 독창성을 보여주고 있어 보존할 가치가 크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불단은 건물의 부속물로 인식되어 불상, 불화 등과 같은 불교문화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이 부족한 편이었다. 또한, 주재료가 목재이기 때문에 수리(修理)가 쉽지 않은 반면, 변형되기가 쉽고 화재, 충해, 습기 등 외부 환경에도 취약하여 보존복원을 위한 원형자료 구축이 절실하다는 의견이 꾸준히 있었다.

 

이와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문화재청은 ()불교문화재연구소와 협력하여 진행해 온 <불교문화재 일제조사>3차 사업 대상으로 불단을 선정하고, 올해부터 5개년의 계획으로 정밀 조사를 추진한다.

 

<불교문화재 일제조사>2002~2013년까지 진행된 1차 조사에서는 3,417개 사찰 소장 불교문화재 163,367점 현황조사 및 목록화 완료하였으며, 2014~2019까지 진행된 2차 조사에서는 114개 사찰 소장 불교 목판 27,171 현황조사 및 기록화 완료하였다.

 

첫 해인 올해에는 전라남도와 전라북도 지역의 16개 사찰이 대상이다. 정밀 실측과 2차원(2D) 디지털 촬영, 3차원 입체(3D) 스캐닝과 도면 작업 등을 통한 원형 디지털 기록화 작업을 하게 되며, 보존과학 조사(손상현황지도, 수종(樹種) 성분 분석, 보존환경 분석)와 안전도 점검 조사 등의 과학 조사도 병행된다. 해당 불단의 역사미술사 의미를 연구하는 인문학 조사도 종합적으로 시행된다.

 

아울러 현재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지정 불단은 영천 은해사 백흥암 수미단(보물 제486), 김천 직지사 대웅전 수미단(보물 제1859) 2건이지만 조사 결과에 따라서 추후 보존할 가치가 크다고 판단되는 불단은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해 안정적으로 보존하고 관리할 방침이다.

 

김천 직지사 대웅전 수미단 01.jpg
김천 직지사 대웅전 수미단

 

 

영천 은해사 백흥암 수미단 01.jpg
영천 은해사 백흥암 수미단

 


문화재청은 이번 조사로 전국 사찰 불단의 현황을 전체적으로 파악하여 앞으로의 체계적인 관리와 보존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계획과 함께 사찰 목공예가 가진 우수성과 전통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더 나아가 불단에 조각된 다양한 문양과 도상(圖像)이 전통문화 콘텐츠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허중학 기자]

 

 

 

 

[허중학 기자 ostw@naver.com]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저작권자ⓒ서울문화인 & sculturein.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0
이름
비밀번호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