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경주 월성에서 가장 이른 시기의 ‘의례용 배 모양 목제품’ 출토

목재 방패 2점, 목간 1점, 63종의 씨앗 등도 확인
기사입력 2019.04.03 02:59 조회수 200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경주 월성에서 발굴된 ‘의례용 배 모양 목제품’.jpg
경주 월성에서 발굴된 ‘의례용 배 모양 목제품’

 

 

 

[서울문화인] 지난해 추진한 경주 월성(사적 제16) 정밀발굴조사 중 해자 내부에서 의례에 사용된 가장 이른 시기(最古)의 축소 모형(미니어처) 목재 배 1점을 비롯하여 4~5세기에 제작된 가장 온전한 형태의 실물 방패(防牌) 2, 소규모 부대 지휘관 또는 군()을 다스리는 지방관인 당주(幢主)와 곡물이 언급된 문서 목간 1점 등을 발굴되었다.

 

이번에 발굴되어 42, 현장에서 공개된 약 40cm의 축소 모형 목재 배는 현재까지 국내에서 확인된 축소 모형 배로는 가장 오래된 것으로 통나무배보다 발전된 형태로 실제 배와 같이 선수(뱃머리)와 선미(배꼬리)가 분명하게 표현된 준구조선(準構造船, 통나무배에서 구조선(構造船)으로 발전하는 중간단계의 선박 형태)으로 배의 형태를 정교하게 모방하고 공을 들여 만들었는데, 안팎에서 불에 그슬리거나 탄 흔적이 확인되었다.

 

배 구조.jpg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에 따르면 이번에 출토된 모형 배는 다른 유적에서 출토된 배의 사례로 보아 의례용으로 추정되며, 5년생의 잣나무류로 제작된 것으로 제작 연대는 4세기에서 5세기 초(350~367년 또는 380~424)로 산출했다.

 

축소 모형 배의 경우 일본에서는 약 500여 점이 출토되었고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번에 나온 월성의 모형 배는 일본의 시즈오카현 야마노하나 유적에서 출토된 고분시대 중기(5세기)의 모형 배와 선수선미의 표현방식, 현측판(상부 구조물이 연결되는 부분)의 표현 방법 등이 매우 유사하여 앞으로 양국의 배 만드는 방법과 기술의 이동 등 상호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월성 해자 출토 방패 모양 목제품.jpg
월성 해자 출토 방패 모양 목제품

 

 

방패는 손잡이가 있는 형태로 발견된 최초의 사례이며, 가장 온전한 실물 자료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2점 모두 수혈해자의 최하층에서 출토되었는데, 하나는 손잡이가 있고, 하나는 없는 형태이다. 크기는 각각 가로세로가 14.4×73cm26.3×95.9cm이며, 두께는 1cm1.2cm이다. 표면에는 날카로운 도구로 기하학적인 밑그림을 그리고 붉은색검은색으로 채색하였다. 또한, 일정한 간격의 구멍은 실과 같은 재료로 단단히 엮었던 흔적으로 보인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실제 방어용 무기로 사용했거나, 수변 의례 시 의장용(儀裝用)으로 세워 사용하였을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목간은 3면 전체에 묵서가 확인되었다. 주요 내용은 곡물과 관련된 사건을 당주(幢主)가 보고하거나 받은 것이다. 6세기 금석문(국보 제198단양 신라 적성비’)에 나오는 지방관의 명칭인 당주가 목간에서 등장하는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또한, , , , 콩 등의 곡물이 차례로 등장하고 그 부피를 일(), (), ()과 같은 갖은자(같은 뜻을 가진 한자보다 획이 많은 글자, 금액이나 수량에 숫자 변경을 막기 위해 사용)로 표현했다. 앞서 안압지(현재 동궁과 월지) 목간(7~8세기)에서도 갖은자가 확인되었는데, 신라의 갖은자 사용 문화가 통일 이전부터 있었음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다.

 

호안목제구조물.jpg
호안목제구조물

 

 

이 외에도 월성해자 내부에서는 호안(護岸) 목제 구조물과 다양한 유물들이 확인되었다. 목제 구조물은 해자 호안(기슭) 흙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설로 수혈해자 북벽에 조성하였다. 수혈해자 바닥을 파서 1.5m 간격으로 나무기둥(木柱)을 세우고 그 사이에는 판재(板材)로 연결하였다. 최대 높이 3m인 나무기둥과 최대 7단의 판재가 남아 있어, 대규모 토목 공사가 삼국통일 이전에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신라의 목제 구조물 전체가 확인된 최초의 사례라 당시의 목재 가공 기술을 복원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자 내부 흙에서는 총 63종의 신라의 씨앗과 열매도 확보, 국내 발굴조사 상 가장 많은 수량이다. 그리고 해자 주변에서 가시연꽃, 물속에 살았던 수생식물(水生植物), 해자 외곽 소하천(발천 撥川)변의 느티나무 군락(群落) 등을 파악, 추후 경관 복원의 근거로 이용될 가능성을 높였다.

 

또한, 해자 내부에서 확인된 6개월 전후의 어린 멧돼지뼈(26개체), 곰뼈(15(최소 3개체))가 발견, 신라인들이 어린개체를 식용(食用) 혹은 의례용으로 선호하였던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방패와 목제 배 등 이번에 공개되는 유물까지 포함해 지금까지 월성의 발굴조사를 통해 출토된 유물들은 오는 5일부터 62일까지 서울 한성백제박물관(관장 이인숙)에서 열리는 한성에서 만나는 신라 월성특별전에서 만나볼 수 있다.

 

 

1호 해자 전경.jpg
1호 해자 전경

 

 

한편, 경주 월성 발굴조사(222)는 올해로 5년차로 현재는 성벽(A지구)과 건물지(C지구), 해자를 조사 중이다. 그동안 월성 C지구에서는 건물지를 비롯한 내부 공간 활용 방식과 삼국~통일신라 시대에 걸친 층위별 유구 조성 양상이 확인되었으며, 월성 해자는 물을 담아 성 안팎을 구분하면서 방어나 조경(造景)의 기능을 했으며, 다양한 의례가 이루어진 특별한 공간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허중학 기자]

 

 

 

 

 

[허중학 기자 ostw@naver.com]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저작권자ⓒ서울문화인 & sculturein.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0
이름
비밀번호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