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신라실, 새로운 유물과 최신 전시기법으로 개편

기사입력 2018.11.22 02:09 조회수 1,334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신라 황금장신구 전시 모습.jpg
신라 황금장신구 전시 모습

 

 

 

[서울문화인]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상설전시실 선사고대관의 신라실(전시실 호수 108~110)을 새롭게 단장하여 1120()부터 재공개하였다.

 

신라실 개편은 역사 문화의 큰 줄거리 전달에 가장 중점을 두었다. 나아가 몇 가지 중요한 이야기꺼리도 재미있게 엮었다. 무엇보다 새로운 조사와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그동안 다루지 못했던 신라 형성기를 전시에 추가, 신라의 성립과 성장에서 삼국통일에 이르는 역사적 맥락과 의미를 제시하고 있다. 유물로는 최근 보물 제455호와 보물 제2001호로 지정된 경주 노서동 귀걸이와 경주 황오동 귀걸이를 비롯하여 황남대총 금관 및 금 허리띠(국보 제191, 192), 경주 금령총 기마인물형토기(국보 제91), 황남대총 봉수형 유리병(국보 제193), 경주 노서동 귀걸이(보물 제455), 경주 황오동 귀걸이(보물 제2001) 등 국가지정문화재 15건과 새롭게 선보이는 경주 황남대총 남분 은관(보물 제631)과 경주 금관총 출토 이사지왕도 명문대도 등 모두 459654점을 전시되었다.

 

 

경주 노서동 215번지 출토품(보물 제454호, 제455호, 제456호).jpg
경주 노서동 215번지 출토품(보물 제454호, 제455호, 제456호)

 

 

황남대총 남분 출토 관 꾸미개(보물 제630호) 5세기.jpg
황남대총 남분 출토 관 꾸미개(보물 제630호) 5세기

 

 

경주황남대총 남분 출토 은관(보물 제631호).jpg
경주황남대총 남분 출토 은관(보물 제631호)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용기.jpg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용기

 

 

좌. 황남대총 북분 출토 금드리개. 5세기, 우. 경주 황오동 52호분 출토 손칼모양장식 6세기-1.jpg
좌. 황남대총 북분 출토 금드리개. 5세기, 우. 경주 황오동 52호분 출토 손칼모양장식 6세기

 

 

좌. 사람 모양 토우. 5세기, 우. 경주 황성동 돌방무덤 출토 남자 토용. 7세기, 아래. 호랑이 모양 토우. 5세기-1.jpg
좌. 사람 모양 토우. 5세기, 우. 경주 황성동 돌방무덤 출토 남자 토용. 7세기, 아래. 호랑이 모양 토우. 5세기

 

 

 

전시는 신라의 성장기(4세기), 황금으로 치장한 마립간의 고대 왕국 시기(5세기), 율령과 불교가 중심이 된 중고기(6~7세기) 순으로 공간을 나누어 각각의 시대성이 드러나게 주제와 전시품을 구성하고 이를 잘 구현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다. 먼저, 4세기 신라의 성장에서는 철제 무기를 대량으로 전시해 당시 신라의 성장 원동력이 철을 토대로 한 무력과 전쟁이었음을 관람객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5세기 마립간의 시대에서는 관 꾸미개, 귀걸이, 목걸이, 팔찌, 반지 등을 비롯해 각종 황금 장신구 70여점을 밀도 있게 집중 전시하여 황금의 나라 신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황금 전시품을 더욱 가까이, 자세히 관람할 수 있게 배치하고 전시 조명을 달리하여 몰입도 높은 전시 관람이 가능하도록 디자인하였다.

 

대형진열장(높이 3.5m, 길이 7m)에 신라 토기를 밀집 전시하여 동아시아 도자 문화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는 신라 토기의 특징과 문화 정체성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신라가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시작한 중고기(6-7세기)를 보여주는 공간에서는 신라의 대외 진출에 초점을 두고 전시를 기획하였다. 이곳에서는 불교, 율령, 문자 등을 바탕으로 중앙통치체제를 완성하며, 삼국 통일의 기틀을 마련해 갔던 신라 사회의 모습을 보여주는 금석문과 문자 자료 등을 전시하였다. 특히 이 시기 신라의 역사를 잘 웅변해 주는 진흥왕 순수비가 서울 북한산 비봉에 세워져 있던 당시의 모습을 대형 이미지와 함께 전시하여 본래의 경관을 간접적으로나마 느끼게 하였다. 전시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삼국 중 후발 주자였던 신라가 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던 동력과 그 통일의 의미를 생각해 보고자 구성하였다.

 

또한, 신라 황금장신구를 주제로 한 시청각 효과를 높인 특별한 공간(인터렉티브 미디어)과 전시 도입 공간을 별도로 신설하여, 직접 참여가 가능한 새로운 볼거리와 휴식 공간을 마련하였다. 또한 황남대총 금관(국보 제191)과 금 허리띠(국보 192)의 진열장과 조명을 현대화하여 전시품 감상 효과와 보존 환경 강화를 꾀하였다.

 

한편, 이번 개편은 2005년 용산 이전 개관 이후 낡은 전시 환경을 개선하고 국립중앙박물관이 추진해 온 통사적 전시 체계를 완성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진열장을 전면 수리하고 조명을 LED로 교체, 색온도 3000K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 전시 효과와 전시품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도록 시스템과 설비를 현대화하였다. [허중학 기자]

 

 

 

 

 

 

[허중학 기자 ostw@naver.com]

위 URL을 길게 누르면 복사하실 수 있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URL 복사하기
<저작권자ⓒ서울문화인 & sculturein.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댓글0
이름
비밀번호
신문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독자권익보호위원회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 top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